닭과소 2007. 8. 6. 09:39



뽕나무


잎은 어긋나며 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3~5개로 갈라지느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3~5쌍의 맥이 있고 자르면 유즙이 나온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자웅이주로 황록색의 이삭 모양으로 피는데 꽃부리가 없다.

열매는 6~7월에 액질의 핵과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검붉게 익는다. 열매를 '오디' 라고 한다

특징 및 사용방법은 양잠, 공업용, 약용 등으로 이용된다. 뿌리껍질을 상백피(桑白皮)라 한다. 동쪽으로 뻗은 것이 약효가 좋다. 흙 밖으로 나온 뿌리는 쓰지 않는다. 땅속에 있는 뿌리의 껍질을 벗긴 백피만을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 환제,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열매는 술을 담근다.

상지차(뽕나무 가지차), 상백피(뽕나무 속겁질)는 소염, 이뇨작용과 강력한 진해작용이 있다.

◆ 오디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는 옛부터 몸에 좋은 열매로 알려져 있다.
오디에는 노화억제 항산화 색소인 'C3G(cyanidin-3-glucoside)'는 물론 고혈압 억제 물질인 '루틴(RUTIN)'과 혈당 저하 물질인 'DNJ' 등건강 기능 성분이 다량 함유됐다.

혈당 저하 성분이 있어 당뇨환자에 적합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

오디에 함유된 항산화 색소 C3G는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토코페롤보다 7배나강한 노화 억제 효과를 보이며 오디의 C3G 최고 함량은 1.27%로 포도의 23배, 유색미의 2.3배에 달한다.
뽕나무에 달리는 오디는 우리 몸 속의 나쁜 물질을 쏙 빼주고, 풍부한 안토시아닌 성분이 뇌 손상은 물론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뇌노화를 제로로 만들어 준다.

오디의 검붉은 색을 띠는 안토시아닌 성분은 노화 억제 효과의 토코페롤 보다 오디의 노화 억제 효과가 7배나 높은 것으로 농촌진흥청 연구 결과가 나왔다.

◆ 뽕잎
뽕잎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은 활성산소를 없애주어 노화를 억제한다. 또한 루틴이란 성분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 뇌졸주을 예방해 준다.



뽕나무가지를 상지(桑枝;뽕나무상, 가지지)라 하며 자명심이라고도 부른다. 쓰이는 용도가 아주 많아 피부가 메말라 거칠어졌거나 부종이 있을 때, 또 소화가 잘 안되고 기침이 날 때, 소변이 원활하지 않고 눈이 침침할 때 두루 약으로 쓸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여러 증상 가운데서도 운동 신경 마비나 비만이 있을 때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살이 많이 쪄 몸무게가 정상보다 많이 나가는 사람은 뽕나무가지로 차를 끓여 마시는 것이 좋다. 어린 뽕나무가지 20그램을 얇게 썰어 찻잔에 넣은 다음 끓는 물을 붓고 우려내어 마시면 되는데 두세 달 정도는 계속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뽕나무가지차는 약효가 아주 뛰어나기 때문에 오래 복용하면 살이 많이 쪘던 사람이라도 여위어 보이기 까지 한다."

뽕나무가지가 옛부터 살을 빼는 다이어트에 효험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뽕나무는 내한성이 대단히 강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질에서 잘 자란다. 뽕나무 잎은 양잠에서 필수적인 것이어서 조선시대에는 일찍부터 재배를 권장하였다. <경국대전> 공전 재식조에 보면 각 고을에서는 옻나무, 뽕나무, 과일나무의 수효 및 닥나무, 왕골밭, 대나무 밭의 생산지에 관한 대장을 만들어 비치하고 옻나무, 뽕나무, 과일나무는 3년마다 대장을 정비한다고 쓰여있다.

뽕나무 잎은 상엽이라고 하여 발열, 감창, 두통, 해수, 안질, 수종, 각기, 구갈 등을 치료하며, 뽕나무 껍질은 상백피라고 하는데 칼로 바같쪽 껍질을 긁어낸 다음 속의 흰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인데 해열, 이뇨, 진해, 소종의 효능이 있어 폐열해수, 기관지염, 소변불리, 수종, 각기 등을 치료한다. 특별히 동쪽으로 뻗은 뽕나무 뿌리의 껍질이 가장 효과가 뛰어나다.

민간에서는 뽕잎과 누에똥을 고혈압의 치료제로 사용하며 껍질을 달인 물에 고수머리를 감으면 머리가 부드럽게 펴진다고 하여 머리를 감기도 한다. 뽕나무 열매인 오디는 맛이 달아서 그대로 먹거나 술을 담궈 상심주를 만들어 먹는다. 백령도에서 나는 뽕나무 겨우살이는 귀한 약재로 이것을 따로 임금에게 바치는 약으로 쓰게 하였다고 전해진다. 뽕나무의 약효의 위대함에 자연신목(自然神木) 즉 신이 내린 보약나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뽕나무효능 질병 민간요법처방 *

각기(脚氣) : 뿌리껍질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ㅏ陸傷?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감기(感氣) :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경기(驚氣) :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복용한다.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고운 살결을 원할 때(美顔:미안) : 잔가리를 푹 달여서 그물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얼굴에 바른다.


고혈압(高血壓) : 뿌리 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구갈(口渴) :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주침해서도 복용한다.뿌리껍질을 벗셔 말려서 두고 쓰면 좋다.


기관지염(氣管支炎) :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뇌일혈(腦溢血) :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눈물이 많이 날때: 뿌리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당뇨(糖尿): 뿌리껍질 4~6g또는 열매(오디)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20일 정도, 뿌리껍질은 달여서 복용하고 열매는 생식한다. 열매는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대/소장(大小腸): 을 이롭게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대하증(帶下症): 꽃 6~8 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독두병(禿頭病) :잔가지 태운 재를 참기름에 개어서 환부에 자주 바른다.


두통(頭痛)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명목(明目): 열매(오디)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일 2~3회씩 10일 이상 생식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몽설(夢泄): 뿌리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통(腹痛)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불면증(不眠症): 뿌리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비만(肥滿):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사독(蛇毒); 잎 또는 가지를 삶아서 그 물로 환부를 자주 씻어준다.


산후 복통(産後復痛):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소화불량(消化不良)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복용한다.


습진(濕疹): 뿌리를 달여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닦아준다.


신경통(神經痛):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신장병(腎臟病);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심장병(心臟病);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악창(惡瘡) ;온포기 또는 뿌리를 삶아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씻는다.


안질(眼疾): 잎 15g 정도를 달여서 그 물로 5~6회 환부를 닦아준다.


양모(養毛): 잎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여드름 :뿌리껍질을 달여서 그 물을 10회 이상 얼굴에 바른다.


오로보호(五勞保護) :열매 30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이상씩 1주일 이상 생식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음식체(飮食滯):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조갈증(操喝症)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중풍(中風):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되다.


천식(喘息)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촌충 :뿌리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회 정도 복용한다.


축농증(蓄膿症): 잔가지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타박상(打搏傷)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토사 곽란(吐瀉?亂): 열매(오디)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3~5회 생식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토혈(吐血)과 각혈(?血):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편두통(偏頭痛) :잔가지 또??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복용중에 쇠붙이 도구
를 쓰면 안된다.


폐결핵(肺結核)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4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또는 산제로 하여 1스푼을 1회분 기준으로 들고서 소주 1잔으로 입가심한다. 이런 요령으로 1일 2~3회씩 나머지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산뽕나무도 같은 효험이 있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폐렴(肺炎):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피로회복(疲勞回復): 열매(오디)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생식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피부병(皮膚病): 잎 또는 꽃의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피부염(皮膚炎):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해수(咳嗽): 뿌리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해열(解熱)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오 디 주


재 료
오디(뽕나무열매), 35℃소주 (재료의 3배)

담그는법
① 신선한 오디를 준비하여 물에 살짝 헹구어 물기를 없앤다음,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 저장한다.
② 약 2개월 정도 지나면 숙성되어 아름다운 색으로 변한다.
③ 열매는 건져 내고 설탕이나 꿀을 넣어 보관하면 맛도 좋고 변질도 막을수있다


복용방법
하루 2~3회 (소주잔으로 한 잔씩) 마신다.

효 능
소변불통, 숙취, 심장병, 신경통, 폐결핵, 폐기보호, 해열, 빈혈, 더위 먹었을 때
좋고, 백발이 검어지며 늙지 않는다는 자양 강장주로 알려져 있다.